한국신화/멩감, 명감, 사만이 본풀이

장자풀이

실풀이 2022. 4. 7. 01:08

정의

호남 씻김굿의 <고풀이>에서 주로 구송되며 저승을 속이는 장자의 이야기를 다룬 무속신화.

줄거리

1. 사마장자가 인색하고 조상 대접도 잘 하지 않는다.

사마장자의 인색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삽화로, <장자못전설> 삽화와 유사한 내용이다. 스님이 시주를 왔을 때 장자는 쪽박을 깨며 행패를 부리지만 며느리가 스님을 후하게 대접한다. 이본에 따라서는 장자가 문복()을 갔을 때 점쟁이가 장자의 잘못을 나열하며 죗값을 받는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2. 사마장자가 죽을 꿈을 꾼다.

숟가락이 부러지거나 밥상이 내려앉는 등의 예조가 있다. 사마장자는 가족에게 해몽을 구하지만 가족들은 엉뚱하게 해몽하고 며느리만 죽을 꿈임을 알아차린다.

3. 문복을 한 사마장자는 선행을 행하고 저승사자 대접할 준비를 한다.

점쟁이의 말에 따라 사마장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물을 나누어 주는 등 선행을 행한다. 아울러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하여 굿을 하면서 저승사자 대접할 준비를 한다.

4. 사마장자가 죽음을 모면한다. 또는 발각되어 죽음을 당한다.

앞의 3단락까지는 모든 이본에 공통되는 단락이다. 결말 부분에 오면서 사마장자가 죽음을 모면하거나 결국 발각되어 죽음을 당하는 두 계통으로 나뉜다. 첫째 계통은 사마장자가 대비를 한 결과 저승사자의 도움으로 다른 존재, 예를 들어서 이름이 같은 우마장자, 나이가 같은 동갑 장자, 집에서 키우는 말 등을 대신 잡혀가게 하고 목숨을 이어가 잘 살았다는 내용으로 일종의 연명담이다. 몇몇 지역에서는 저승을 속이는 내용 없이 곧장 저승사자로부터 용서받아 잘 살게 되었다는 연명담이 보이기도 한다. 둘째 계통은 사마장자가 여러 가지 계책을 세우고 저승사자의 도움을 얻어 다른 존재를 대신 잡혀가게 하지만 결국은 발각되어 저승에 잡혀가 벌을 받는다는 내용으로, 이는 사후담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장자풀이> 무가는 핵심적인 내용이 사마장자의 연명 기도와 그 결과라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장자풀이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한국신화 > 멩감, 명감, 사만이 본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웅애기 본풀이  (0) 2022.04.07
명두굿무가  (0) 2022.04.07
황천혼시  (0) 2022.04.07
사만이 본풀이  (0) 2022.04.07
맹감 본풀이  (0) 2022.04.07